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충남 뉴미디어 교육 현황 조사해봤더니

15개 시군 조사… 단계별 교육 체계 필요·젊은 귀농귀촌자 활용안 주목해야

2016.12.12(월) 15:21:19 | 솔이네 (이메일주소:siseng@hanmail.net
               	siseng@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남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뉴미디어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충남도를 비롯해 도내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정보공개청구를 진행했다. 

수치 분석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지난 2015년부터 2016년 7월까지 104개의 뉴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했다. 파악가능한 수강생은 모두 6,507명이었으며 이 중 수료생은 5,568명이었다. 교육 프로그램당 평균 62.6명이 수강했고 수료생은 평균 53.5명이었다.

104개 교육프로그램 중 주민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49개로 가장 많았고, 농업인 대상은 31개, 공무원 대상은 24개가 있었다. 특히 태안군의 경우 ‘주부’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도 있었다.

내용 및 접근방식 분석

아산시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스쿨'을 개설하면서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단계별로 접근하고 있다. 태안군도 일반 과정 외에 '기초반'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서천군은 강소농을 대상으로 기본, 심화, 후속 교육으로 보다 세부적으로 단계를 나눠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홍성군은 이동식정보화교육 및 '소셜웹 활용'이라는 주제로 면단위별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충남도에서 받은 자료는 모두 충남평생교육진흥원이 진행하는 온라인 교육이다.

농업인 특화 프로그램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31개 교육 프로그램 중 17개는 강소농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각 지자체 담당 공무원들의 설명에 따르면 기초적인 강소농 SNS 교육은 시.군 자체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별개로 강소농을 대상으로 뉴미디어 활용 방법에 대해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e-비즈니스 과정’도 있다.

e-비즈니스 과정은 농촌진흥청에서 실시하는 사업으로 매년 희망 시군을 선정해 진행된다. 도 농업기술원 담당자에 따르면 2016년 현재 농업기술원과 5개 시.군에서 진행 중이며, 한번 선정되면 4~5년 씩 진행된다고 한다. 시군에서 10여 회 이상 교육을 수료한 후, 중상위 수준의 강소농을 대상으로 농업기술원에서 1박 2일 워크숍 2회로 특정 테마에 집중해 교육한다.

관계자 인터뷰 조사

뉴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주민 공동체조직 관계자, 담당 공무원 등의 인터뷰를 통해 개선사항 등을 살펴봤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스마트폰조차 사용하기 힘들어 하는 60대 이상 주민들을 위한 아주 기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수준별로 나눠서 단계별로 심화 학습할 수 있는 체계가 잡혀 있었으면 좋겠다.
-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적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후속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 집단 교육이 가지는 한계가 있다. 결국 1대1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예산 등 다양한 여건 상 집단 교육이 불가피한 점이 있다.
- 전문강사를 초빙해서 하는 교육도 필요하지만, 전문 교육을 이해하지 못하는 수준의 사람들이 강의를 듣는 경우가 있다. 비싼 강사료를 지급해 전문 강사를 초빙하지만 기초적인 강의를 진행할 때가 많다.
- 농촌지역의 경우에도 정보화 시설이 시내에 집중되어 있어 면단위 주민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 뉴미디어 활용에 능한 지역 청년들을 활용한 기본 교육이 상시적으로 이뤄졌으면 좋겠다. 특히 젊은 귀농귀촌자들을 ‘농촌 정보화 도우미’로 양성해서 농촌지역 주민들에게 일상적으로 도움을 줄 수는 정책이 필요하다.

수준에 맞는 단계별 교육 체계 수립 필요

인터뷰에서 수준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기본적인 교육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기본 교육을 이수한 이들은 보다 심화된 학습을 원했다. 즉 단계별 교육 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충남 도내 뉴미디어 교육프로그램 현황에서 단계별 교육 체계를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서천, 태안, 아산 등 일부 지역에서 단계별로 교육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같은 사례를 확대하고 보다 세분화된 교육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후속교육’ 등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필요

수료자들이 가장 많이 공감한 내용은 ‘후속교육’의 필요성이었다. 현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실제로 SNS를 운영하는 데 지속적인 도움을 받고 싶다는 요구도 컸다. ‘연속적인 실용교육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일정 기간 동안 집단교육을 받은 현재 시스템을 벗어나기에는 예산상의 문제가 있다는 담당 공무원의 지적도 참고해야 한다.
 
젊은 귀농귀촌자를 활용한 농촌지역 특화 교육정책 수립 필요

지속적인 교육체계, 예산상의 문제를 종합했을 때 젊은 귀농귀촌자를 ‘농촌정보화도우미’로 활용하자는 제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시에 살았던 젊은 층은 뉴미디어 활용능력이 높다. 이들과 농촌지역에서 농림·어업분야에 종사하는 50대 이상의 주민들과 만날 수 있는 접점은 '귀농귀촌자'들이다. 전문강사를 활용한 집단 교육을 벗어나 예산 범위 내에서 일상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정책적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 글은 필자가 수행한 '충남연구원 연구과제 지원 사업' 보고서 내용을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솔이네님의 다른 기사 보기

[솔이네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myeongjin.jeong
  • 트위터 : @tellcorea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