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힘쎈충남 대한민국의 힘 충청남도

  • 충청남도 > 충남소개 > 충남의어제 > 충남의인물 > 예술인
화면컨트롤메뉴
인쇄

충남의 인물

예술인

[장영실][蔣英實] [?~?]
장영실
생 애 : 1423년 발탁되어 노예신분을 벗어남
1432년 중추원사 이천을 도와 간의대의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의 제작을 감독
1433년 호군에 올랐으며, 혼천의 제작을 완성
1433년 갑인자의 주조를 지휘감독하는 한편, 물시계인 자격루를 제작, 완성
1433~1441년 천체관측용의 대ㆍ소간의, 해시계인 천평일구, 앙부일구, 일성정시의 및 태양의 고도를 측정하는 규표 등을 제작, 감독
1441년 세계 최초의 우량계인 측우기와 수표를 발명, 상호군에 특진, 감독으로 제작된 왕의 가마가 부서져 불경죄로 파면
업 적 : 32년 중추원사 이천(李)을 도와 간의대(簡儀臺)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天文儀) 제작을 감독하였다. 33년 호군(護軍) 에 오르고 혼천의(渾天儀) 제작에 착수하여 1년 만에 완성하고 이듬해 동활자(銅活字)인 경자자(庚子字)의 결함을 보완한 금속활 자 갑인자(甲寅字)의 주조를 지휘감독하였으며, 한국 최초의 물시계인 보루각(報漏閣)의 자격루(自擊漏)를 만들었다. 37년부터 6년 동안 천체관측용 대ㆍ소간의(大小簡儀), 휴대용 해시계 현주일구(懸珠日晷)와 천평(天平)일구, 고정된 정남(定南)일구, 앙부(仰釜)일구, 주야(晝夜) 겸용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圭表), 자격루의 일종인 흠경각(欽敬閣)의 옥루(玉漏)를 제작 완성하고 경상도 채방(採訪)별감이 되어 구리[銅]ㆍ철(鐵)의 채광ㆍ제련을 감독하였다. 41년 세계 최초의 우량계인 측우기와 수표(水標)를 발명하여 하천의 범람을 미리 알 수 있게 했다.
대표작 : 물시계, 간의, 혼천의, 천평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 일성정시의, 규표, 자격루
[이지함]([李之驪][수산, 토정]) [1517~1578]
이지함
생 애 : 1573년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6품직을 제수받아 포천 현감이 됨
1574년 포천 현감 사직
1578년 아산현감 임명
1713년 이조판서에 추증됨
업 적 : 아산현감 임명 되어서는 걸인청(乞人廳)을 만들어 관내 걸인의 수용과 노약자의 구호에 힘쓰는 등 민생문제의 해결에 큰 관심을 가졌다. 이지함은 주자성리학만을 고집하지 않는 사상적 개방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까닭으로 조선시대 도가적 행적을 보인 인물들을 기록한 『해동이적(海東異蹟)』에도 소개되어 있다.
대표작 : 『토정비결』『토정유고』
[조병호][趙秉鎬] [1847~1910]
조병호
생 애 : 1866년(고종 3)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867년 홍문관 관원으로 법규교정소의정관(法規校正所議定官)
1869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옴
1870년 홍문관응교에 승진
1872년 동부승지 됨
1879년 성균관대사성
1880년 이조참의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가서 관세문제를 논의하고 돌아옴
1882년 도승지ㆍ이조참판에 올라 임오군란 당시에는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일행을 장악원에 피신해 있도록 보호조처하고 청군(淸軍)입성시에는 우창칭(吳長慶)의 영접관(迎接官)이 되어 안내
1883년 안동부사가 되어 동래민란과 성주민란의 안핵사를 겸임, 민란을 진압, 처리
1884년 갑신정변 후 사대당(事大黨) 중심의 정부조직 때에는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에 특탁(特擢)되어 일본에 망명중인 김옥균(金玉均)ㆍ박영효(朴泳孝) 등의 소환을 일본정부에 요구하는 등 사대당 정책수행
1885년 공조ㆍ예조의 판서, 한성부판윤을 차례로 역임
1886년 다시 예조판서
1889년 의정부우참찬ㆍ한성부판윤을 지내고 이듬해 다시 예조판서를 역임
1892년 충청도관찰사
1894년 경상도관찰사가 되고, 이듬해 장례원경(掌禮院卿)ㆍ궁내부특진관을 거침
1897년 탁지부대신ㆍ학부대신, 이듬해 다시 탁지부대신이 됨
1899년 장례원경ㆍ궁내부특진관을 지냄
1904년 내부대신을 역임
1905년 황해감사에 발령되었으나 부임 전에 다시 탁지부대신ㆍ참정대신이 됨
1906년 의정부의정대신이 됨
업 적 : 1883년 안동부사(安東府使)로 민란을 진압하고, 이듬해 갑신정변(甲申政變) 실패 후 사대당 내각에서 외무독판(外務督辦)이 되어 일본에 망명한 김옥균(金王均) ㆍ박영효(朴泳孝) 등의 소환을 일본정부에 요구하기도 하였다. 글씨를 잘 썼으며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김시습]([金時習][매월당(梅月堂)]) [1435~1493]
김시습
생 애 : 3세 때 보리를 맷돌에 가는 것을 보고 “비는 아니 오는데 천둥소리 어디서 나는가, 누른 구름 조각조각 사방으로 흩어지네(無雨雷聲何處動 黃雲片片四方分)”라는 시를 읊었다 함 5세 때 이 소식을 들은 세종대왕에게 불려가 총애 받음
15~18세 부모를 여의는 역경에서 훈련원 도정(都正) 남효례(南孝禮)의 딸을 아내로 맞이함
1463년(세조 9) 효령대군(孝寧大君)의 권유로 잠시 세조의 불경언해(佛經諺解) 사업을 도와 내불당(內佛堂)에서 교정 일을 봄
1465년(세조 11) 경주 남산에 금오산실(金鰲山室)을 짓고 입산하여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1468년 『산거백영(山居百詠)』 저술
1476년 『산거백영 후지』(1476) 저술
1481년(성종 12)에 환속(還俗), 안씨(安氏)와 결혼
1483년 방랑의 길을 나섰다가 충남 부여(扶餘)의 무량사(無量寺)에서 별세
1782년(정조 6) 이조판서에 추증
업 적 :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었고, 끝까지 절개를 지킨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유 ㆍ불(儒佛) 정신을 아울러 포섭한 사상과 탁월한 문장으로 일세를 풍미하였다.
대표작 : 『금오신화(金鰲新話)』 『오뇌의 무 도』 『해파리의 노래』 『꽃다발』 『망우초』 『탕유관서록(宕遊關西錄)』 『탕유관동록(宕遊關東錄)』 『탕유호남록(宕遊湖南錄)』
[김만중]([金萬重][서포(西浦)]) [~]
김만중
생 애 : 1671년(현종 12) 암행어사(暗行御史)
1672년 겸문학(兼文學)ㆍ헌납(獻納)을 역임
1674년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로 서인(西人)이 패하자, 관직 삭탈
1679년(숙종 5) 예조참의
1683년(숙종 9) 공조판서 이어 대사헌(大司憲)
1685년 홍문관대제학
1686년 지경연사(知經筵事)로 있으면서 김수항(金壽恒)이 아들 창협(昌協)의 비위(非違)까지 도맡아 처벌되는 것이 부당하다고 상소했다가 선천(宣川)에 유배
1688년 방환(放還)
1689년 박진규(朴鎭圭)ㆍ이윤수(李允修) 등의 탄핵으로 다시 남해(南海)에 유배되어 여기서 『구운몽(九雲夢)』을 집필한 뒤 병사
업 적 : 『구운몽』은 그의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쓴 것으로 전문을 한글로 집필하여 숙종 때 소설문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한편, 한글로 쓴 문학이라야 진정한 국문학이라는 국문학관을 피력하였다.
1698년(숙종 24) 관직이 복구되고
1706년(숙종 32) 효행에 대해 정표(旌表)가 내려졌다.
대표작 : 『구운몽』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서포만필(西浦漫筆)』 『서포집(西浦集)』 『고시선(古詩選)』
[조중현]([趙重顯][심원(心園)]) [1917~1982]
조중현
생 애 : 1917년 충청남도 연기 출생
1935년 김은호(金殷鎬)의 문하생이 되어 정식으로 전통화법을 공부
1936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에 계속 입선하고, 특선도 몇 번 하며 전통화단의 신진으로 부상
1939년 동경의 제국미술학교에 입학하여 한때 수학
1945년이후 천안ㆍ홍성ㆍ대전 등지에서 미술교사 재직,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國展)에 참가, 추천작가ㆍ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지냄
1959년 충청남도문화상을 수상
1960년 중견 한국화가단체 백양회(白陽會)회원작품전에도 참가
1965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 세종대학 강사 등을 역임
업 적 : 초기부터 주로 새ㆍ동물ㆍ물고기ㆍ꽃 등을 소재로 삼아 수묵화와 세필채색화로 다양하게 그렸고, 가끔은 현대적인 표현의 자연경도 다루었다. 후진양성에 위해 힘쓰면서도 작품활동도 소홀하지 않았다

만족도조사 및 정보관리실명제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정보관리실명제
담당부서 :
정책기획관 
담당자 :
김은희 
문의전화 :
041-635-2111 

-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 최종수정일 : 2015-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