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여행

충남넷 미디어 > 통통충남 > 여행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2024.05.27(월) 09:52:16임중빈(joongbin2@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국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국가유산’들은 한번 쯤 꼭 방문해봐야 할 가치와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충남 예산에 있는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은 일전에 ‘예산 1100기념관’에 자세한 내용가 모형으로 전시가 되어 있던 것을 기억해서 이번에 실제 답사를 오게 되었는데요.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1984년 그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된 석조사면불상이기에, 진입로와 광장이 매우 깔끔하게 정비되어 있었습니다. 약 10대 내외로 주차를 할 수 있는 주차장과 쾌적한 공중화장실이 매우 잘 관리되고 있어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고 가벼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실은 불상, 석불입상, 와상 등 우리나라 불교와 관련된 국가유산들은 생각보다 접근성이 어려운 곳들이 많고, 주소지를 찍어 보아도 의외로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곳들도 많아 가끔 낭패를 겪기 마련인데요.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은 주소지 그대로 찾아와 편하게 주차를 하고 액 100m정도의 얕은 오르막길을 오르면 됩니다. 한눈에 들어오는 옛 시골의 정취와 초여름 초록빛 풍경이 관람객들을 맞아주고, 진입로 중간에는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그늘막 휴게공간도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주차장에서 5분도 채 되지 않아 오늘의 주인공을 만나봅니다. ‘사면’, 즉 동서남북 모든 방향에 불상이 새겨져 있어 영험함을 뽐내고 있는 석불입상으로 백제시대에 유일의 사면불상이라고 전해집니다.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한 면, 한 면씩 차례대로 불상을 관찰해봅니다. 사면에 모두 불상이 조각된 이유는 동서남북의 방위에 따라 사방 정토에 군림하는 신앙의 대상으로 약사불, 아미타불, 석가불, 미륵불이 새겨져 있어 일명 ‘사방불’이라고도 한답니다.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재밌는 점은 이런 영험한 기운을 가진 사면불상이 비교적 최근인 1983년에 ‘화전리 미륵당’이라고 불려지는 야산에서 발견된 것인데요. 아마 그동안은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듯 합니다. 오래전부터 화전리에 살고 있었던 주민들에겐 그저 신성한 ‘불상’정도였겠죠? 그런데 우리리나라 최초의 석조사면불상이었다는 것을 잘 모르셨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보존상태도 생각보다 양호한 편으로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의 유물이 아닌, 무려 고대 백제시대의 유물이었는지 아무도 모르셨나 봅니다.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일부 방향의 불상은 예를들어 머리가 파괴되어 있거나, 양쪽 손이 관찰되지 않는 등 세월의 흔적을 거스를 수 없는 부분도 있는데요. 다만 각 방향의 불상들은 머리, 손, 발, 옷자락의 형태와 조각의 수법이 서로 달라 개성이 뚜렷한 점은 석조사면불상의 특징과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불상 곳곳에 표현된 불꽃무늬와 연꽃무늬 등은 백제 특유의 양식으로 알려져 있지요.

사면이 모두 불상!?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사진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은 이렇게 실제로 답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산 1100기념관에 가시면 실제 모형을 재현해 놓은 전시공간이 있습니다. 또한, 미니어쳐로 제작되어 손가락으로 직접 만져볼 수도 있는데요. 실제 현장과 기념관에 전시된 조각품도 함께 만나보시면 알찬 역사여행이 될 것 같습니다.


예산화전리석조사면불상
충남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 산 62-3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