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2024.01.17(수) 15:20:00프리지아(lienying@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공주 효심공원을 아시나요? 공주 도심 국고개에 '효'의 가치와 의미를 전하기 위해 조성된 작은 공원이 있어요. 이곳은 공주의 효자로 이름을 알린 이복과 향덕의 이야기를 주제로 조성된 공원인데 아담하여 잠시 둘러보기 좋아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공원에는 효열문, 효원탑, 효행상, 행복가종상, 이복비, 향덕비가 조성되어 있는데 한가지 아쉬운점이 있다면 이복과 향덕이 행했던 효에 관한 이야기가 없어서 이들이 행했던 효에 대해 알수가 없었어요. 공원을 조성한 의미는 좋았지만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적어 놓았으면 더 좋았을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담벼락에는 이복과 향덕의 이야기가 새겨져 있으며 이들의 효행에 대해 찾아 보았어요. 이복이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어느 부잣집에서 일을 해주고 국을 얻어 고개를 넘다 고개에서 넘어졌고 그 고개는 현재 국고개라 불리고 있어요. 바로 이곳이 자리한 곳이 국고개이며 전설의 유래가 효자 이복이에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효열문을 지나 안쪽으로 들어가면 이복과 향덕의 효를 기리기 위한 비석도 볼 수 있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효자 향덕비에요. 향덕은 신라 경덕왕 시절에 지극한 효행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효자로 문헌에 남았고 효행은 경덕왕에게까지 알려져 집과 토지, 곡물을 하사하였고 효행을 널리 알리기 위해 비석을 세웠다고 해요.

향덕의 효행을 살펴보면 가난과 병에 시달리던 부모를 위해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봉양하고 종기로 고생중인 어머니의 고통을 덜어드리기 위해 고름을 빨아내며 극진히 모셨어요. 이런 향후 향덕이 살던 마을을 효가리라고 하였으며 본래의 비석은 공주시 소학동에 있으며 이곳에 있는 것은 모사본이에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효자 이복비가 있는 곳 앞에는 국을 쏟아 울고 있는 이복의 모습을 형상화한 효행상을 볼 수 있어요. 어머니에게 드릴 국을 쏟고 말았으니 얼마나 상심했을지 그 마음이 느껴졌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바로 옆에 행복한가족상이 있어요. 조부모와 어린 아이들까지 환하게 웃고 있는 가족을 볼 수 있는데 점점 핵가족화가 되어 가고 있는 요즘 가족의 의미를 다시한번 새겨볼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요즘에는 과거의 인물들처럼 극직히 효를 행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딘가에서는 효를 행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돼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공원 끝에는 국고개우물이 있어요. 이 우물은 국고개 문화거리조성 사업을 진행하며 발견된 우물로 원형이 거의 손상되지 않았고 전통우물의 축조 방식인 '허튼층 쌓기'로 만들어졌어요. 우물은 발견 당시에도 물이 용출되고 있었으며 지상부분을 복원해 놓았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효심공원 위에는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이 있어요. 이곳은 충청남도의 역사를 알아가는 곳으로 다양한 유물과 함께 충청남도의 문화유산을 볼 수 있는 곳이에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박물관을 둘러볼 생각으로 올라왔는데 어수선한 분위기에 기분이 쎄했어요. 아니나 다를까 건물앞으로 가니 박물관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휴관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어요. 공사는 2024년 3월 31일까지 진행된다고 하니 박물관은 4월이 되어야 다시 관람할 수 있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내부는 관람할 수 없지만 주변에 있는 다양한 유물은 살펴볼 수 있어요. 이것은 임득의 장군 묘소에 있던 문인석으로 임득의는 홍가신을 도와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에요. 이 외에도 금영측우기, 숙종대왕 가봉태실 석물 부재 등 다양한 유물을 볼 수 있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박물관이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거 주변 경치도 잘 보이는데 길 건너편에는 공주중동성당이 자리잡고 있어요. 이번에는 성당까지 가지 못했지만 다음에는 국고개문화거리를 걸어보고 성당까지 둘러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주변에는 벚꽃동산도 있어요. 지금은 겨울이어서 벚꽃을 볼 수 없지만 동산이 궁금해 계단을 따라 올라가 보았어요.

공주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진

벚꽃동산의 모습이에요. 정자가 있고 주변으로 벚나무가 많이 있는데 지금은 앙상한 나뭇가지만 보이지만 봄이 오면 화사하게 분위기가 바뀔 것 같아요.  

효심공원부터 충청남도역사박물관까지 돌아보았는데요. 박물관 내부를 볼 수 없어서 아쉬웠지만 리모델링 후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 기대가 되었고 리모델링이 끝나고 따뜻한 봄에 다시 찾아으면 더 예쁜 풍경을 볼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그리고 효심공원에서 알게된 이복과 향덕이를 통해 효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어요.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충남 공주시 국고개길 24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