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2024.01.14(일) 10:05:00가을하늘(kms2380@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계룡시 양정 삼거리에서 우회전을 하여 금암동으로 가다 보면, 경충사(景忠祠) 경운단소(景雲壇所)를
알리는 표지석이 눈에 들어옵니다. 이곳은 조선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문화재가 있는데요. 조선 성종 때의 문신이자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증손자인 이심원(1454∼1504)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각입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이심원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이자 성리학자입니다. 김종직의 문인으로, 성질이 엄정하고 학문과 의술에 정통하였고, 성종 9년(1478) 주계부정에 제수된 후 성종 18년(1487)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의대부에 임명되었다고 합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고모부인 임사홍 부자의 간사한 사실을 알고 성종 임금에게 임사홍을 중요한 자리에 쓰지 말 것을 다섯 차례나 상소로 올리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이로 인해 연산군 10년(1504) 갑자사화 때 임사홍의 모함으로 두 아들과 함께 죽임을 당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중종 14년(1519) 조광조, 정광필 등의 상소로 죄를 면하고, 주계군으로 증직 되었으며, 이후 홍록대부로 추증되어 그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문이 세워졌습니다. 그의 행적을 『명신록』,『삼강행실』,『국고 보감』등의 책에 기록하여 학문과 충절을 돋보이도록 하였고, 저서로는『성광유고 』가 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충신 주계군 정려는 정면 2간, 측면 1간의 규모이며 철책으로 보호되고 있는데요. 기단은 막돌을 사용하여 1단을 구축하였으며 그 위에 원형의 주초석을 놓고 원주를 세웠습니다. 4면은 홍살로 처리하였으며 하방과 중방을 시설되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정려의 내부에는 명정 현판과 함께 중수기가 있는데요. 가구 양식은 도리식을 이용했으며, 처마는 겹처마이고, 측면의 박공널 밑에는 방풍판을 설치하여 정려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명정 현판에는 ‘충신주계군심원지려(忠臣朱溪君深源之閭)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심원 정려 현판은 전주 이씨 주계공 종중에서 충남역사 문화연구원에 소중한 유물 2점을 기탁했습니다. 유물은 1519년 (중종 14)에 내려진 현판으로 조선시대 정표(旌表) 정책의 변화상과 정려판 제작 방식을 살 필수 있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이심원 충신 정려각은 원래 군사분계선 지역 안에 있었다고 합니다. 1864년 후손들이 충청도 연산현 (지금 계룡시 엄사면)에 옮겨 세웠는데요. 이후 계룡대 건설로 인하여 지금의 계룡시 금암동으로 이전하였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현재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은 충남역사 박물관 상설 전시실에 전시되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상설 전시실에는 충남의 연혁, 충청감영과 관찰사, 호서 예학과 선비정신의 전통, 충남의 인물, 근현대 민속생활 유물 등, 충남과 충남 사람들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정려각 뒤쪽에는 숭모당( 崇慕堂) 편액이 걸려있는 집에는 후손이 거주하는 모양입니다. 굳게 닫힌 대문에는 경주 이씨 문충공 주계군중회라는 문패가 있습니다. 여기서 경사진 오르막길로 몇 걸음 올라가면, 바로 경충사라는 사당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금암동 경충사 경운단소는 조선시대 주계군 묵제 선생 이심원의 제단을 모신 곳인데요. 건물은 솟을 삼문 형식으로 회벽이 사우(祠宇)를 감싸고 있고, 삼문 앞에는 거북 받침을 한 웅장한 묘정비가 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경충사 사당 입구 평성군 기적비문에는 경운사 건립을 위해 도움을 준 명단이 새겨져 있는데요. 평성군의 휘는 위(偉)이고 자는 치원(致遠)이며, 조선왕조 정의대부를 지냈다고 합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문충공 주계군 경운사 봉양회는 충신 이심원의 뜻을 기리기 위해 매년 경운단소에서 제향 행사를 거행하고 있습니다. 제향( 祭享)은 각종의 제사 의식을 말하는데요. 조선시대 제향은 크게 대사(大祠) 중사(中祀) 소사(小祀)로 나누어 지냈다고 합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경충사는 문이 잠겨 있어 들어가 보지 못하고 담너머로 들여다보니, 내부에도 여러 개의 비석들이 보였답니다.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과 경충사를 돌아보고 조선시대의 정치적 변화와 역사의 흐름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조선의 역사가 담긴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사진

조선시대 역사적 인물인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은 1995년 3월 6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3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심원 충신 정려 현판
충청남도 계룡시 금암 1길 7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