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2023.01.17(화) 05:19:53혜영의 느린세상(auntlee49@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귀금속을 착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 해본 적이 거의 없지만 생각해보면 코에 거는 코걸이는 우선 심플할 수밖에 없고 귀에 걸을 수 있는 귀걸이의 디자인이 훨씬 다양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귀걸이의 디자인은 사람이 할 수 있는 귀금속 중에 가장 다양한 모습으로 발달해왔습니다. 삼국시대와 같은 왕조시대에 관을 쓰지 않는다면 귀걸이는 귀금속의 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2023년 1월 공주에 자리한 국립공주박물관에서는 기획전시전으로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전시전이 열리고 있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 나태주 시인의 시처럼 풀꽃과 달리 귀걸이는 그렇게 자세히 보지 않아도 이쁜 것은 알 수 있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귀엣고리는 귀고리의 옛말로 백제 귀걸이가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것은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되면서였다고 합니다. 왕릉 안에는 무덤의 주인인 무령왕과 그 왕비임을 알려주는 지석을 비롯한 5천여 점이 넘는 유물들이 발굴되었습니다. 그 가운데에 크기는 작지만,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은 것은 무령왕과 왕비가 양쪽 귀에 달았던 아름다운 귀걸이였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역사 속에서 귀걸이는 다양한 모습으로 발달해 왔습니다. 물론 재질도 무척이나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황금이 가장 많이 쓰여왔습니다. 귀걸이는 귀에 걸어야 되니 고리, 연결고리, 중간장식, 끝장식등으로 구성이 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끝장식이 귀걸이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백제 귀걸이는 이를 만든 장인과 착용한 사람들의 생각 등 당시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었다고 합니다. 보통은 착용한 사람에게 주목하지만 그걸 만든 장인의 관점도 중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오늘날에 사용하는 귀걸이는 삼국시대에서 발전되어 오던 고리 모양에서 바뀐 것이라고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귓불을 뚫는 것을 금하면서 고리 모양이 점차 사라지고 귓바퀴에 거는 걸이 모양으로 바뀐 것입니다. 그래서 귀고리에서 귀걸이가 된 것이라고 합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백제의 금속공예품은 대부분 화려하게 장식되어 권위를 나타내지만 귀걸이는 상대적으로 간결한 느낌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간결함의 미학은 끝장식을 단순화하여 간결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독창적인 귀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금은 가장 보존성이 좋으면서도 다루기가 쉬운 금속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신라의 사리공양품에서도 많이 사용이 되었다고 합니다. 금세공 기술이 뛰어났던 백제 사람들 역시 모양은 비슷하지만 각기 장식을 달리하며 독특함을 가지고 있는 귀길이를 만들어냈습니다. 백제가 자리했던 영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귀걸이를 이곳에서 자세히 볼 수가 있었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귀걸이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백제 사람들 역시 귀걸이를 통해 자신을 어떻게 드러내고 싶은지 볼 수가 있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만나보는 백제 귀엣-고리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사진


백제시대에 왕비는 왕의 배우자이자 최상층부의 일원이었습니다. 정치권력에서 중요한 사람으로 백제와 신라의 왕과 왕비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공주의 무령왕릉과 경주의 황남대총이 대표적입니다. 당시 높은 신분의 여성을 부인이라고 하였는데 그들이 착용한 장신구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까요. 귀걸이에 대한 자세한 것을 보고 싶으신 분이라면 이번 전시전을 살펴보세요.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