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2021.09.29(수) 12:59:09혜영의 느린세상(auntlee49@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내포신도시이면서 충남의 금강산이라는 용봉산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그 형상이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고 합니다. 이곳에는 백제 때 고찰인 용봉사와 보물 제355호인 마애석불을 비롯한 문화재가 곳곳마다 산재하고 있습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용봉산에는 자연휴양림과 산림휴양관, 숙박할 수 있는 숲 속의 집 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아래에는 용봉산 녹색 나눔 숲이 만들어져 있는데 산림청 녹색사업단의 녹색자금을 지원받아 조성한 곳이라고 합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입구에서부터 기암괴석이 이곳이 어떤 곳인지 알리고 있습니다. 보통은 이곳에서 시작하는 용봉산 산행의 대표 코스를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산행 대신 둘레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용도사에서 용봉폭포 코스를 타고 걷다보면 산림휴양관으로 이어지는 산길(1.7km)로 돌아볼 수 있습니다.

이른바 내포 사색길도 용봉산에  이어지고 있습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자연을 품은 정원은 철학과 서로 잘 어울립니다. 프랑스 계몽주의의 총아였던 볼테르는 "우리는 반드시 자신만의 정원을 가꾸어야 한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용봉산을 둘러보듯이 한 바퀴 돌아보았습니다. 조금만 올라왔는데 저 아래의 내포 신도시가 내려다보입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전시관으로 들어오면 용봉산을 상징한다는 장군바위를 모형으로 먼저 볼 수 있습니다. 디테일하게 잘 만들어진 바위의 모습입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용봉산 등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나자식물(裸子植物)은 소나무·비자나무·주목·전나무·향나무 등이 포함되며  피자식물(被子植物)은 감나무·단풍나무·밤나무·떡갈나무·사시나무 등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사람들의 행동양식을 한지로 만든 것도 볼 수 있습니다. 닥나무를 만드는 과정은 늦가을에 닥나무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통에 넣고 찐 후 껍질을 벗겨냅니다. 물에 담가 부드럽게 만든 겉껍질을 제거하면 하얀 안 껍질만 남게 됩니다. 다시 솥에 넣고 나뭇재를 섞어 삶으면 얇은 한지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다시 나와서 용봉산 자연휴양림을 돌아봅니다. 홍성군이라는 지명보다 내포신도시가 더 연상되는 곳입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었다는 용봉산 사진

나무는 미래의 모든 가능성을 나무처럼 계통도로 그려서 분석해본다면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즉 변화는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고 세상을 보고 다시 내면을 돌아보다 보면 보인다고 합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