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2019.08.26(월) 19:19:57기적(ansun3066@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화산고인돌은 충남 보령시 화산동 고인돌 삼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이곳은 한양 조씨가 많이 모여사는 집성촌입니다. 화산고인돌이라는 식당이 유명하죠. 한양 조씨가 운영한 곳입니다. 필자도 식당에는 들렀지만 문화재 돌아보는데는 소홀했네요! 그냥 지나치기 쉬운 문화재, 가꾸고 보호하며 문화재를 소중히 여기는 시민의식이 필요한 대목입니다. 이 기회에 중요한 문화재를 널리 알려야 되겠네요!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현장학습하기 딱 좋은 화산고인돌!  딸아이가 초등학교 시절 현장학습하던 곳입니다.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참 웅장한 모습이죠? 조형미도 뛰어난 듯~.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고인돌은 돌로 만든 선사시대의 무덤입니다.
 
청동기는 대부분 ‘지석묘’라 불리는 고인돌에서 출토되고 있습니다. 고인돌은 말 그대로 ‘돌을 고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형식입니다. 무덤 속에는 주검만을 묻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토기나 석기, 청동기 등의 다양한 유물을 넣기도 하므로 무덤은 그 시대의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이 됩니다. 더구나 고인돌은 박물관의 전시실이 아닌 자연 현장에서 뚜렷하게 대면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청동기시대 유적이라는 점이 의미가 있습니다.
 
고인돌은 전 세계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특히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는 실로 ‘고인돌 왕국’이라는 표현을 쓸 만큼 많은 수의 고인돌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남한에서 3만기가 넘는 고인돌이 발견되었으니 말입니다.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화현(꽃고개)라는 이름도 아름답지만 범죄 없는 마을이라니 대단하죠? 믿음과 신뢰가 가는곳, 이사 오고 싶을 정도로 인정미 넘치는 곳이에요!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보령시의 자료는, '검바위: 오얏골 서쪽 들 가운데 있는 2개의 바위 고인돌이며, 산수골: 花峴(화현)(굴고개)에서 대천천 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입니다. 山水洞(산수동)이라고도 하는데 산에서 물이 많이 나와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곳에는 큰 고인돌이 1개가 있습니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고인돌은  지석묘라고도 부르며 북·서유럽·지중해 연안 동북아시아 등의 신석기시대의 무덤 양식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입니다. 고인돌은 옛 사람이 만든 무덤이므로 당시 사회경제적 측면, 믿음과 관련된 정신적 측면·문화적 특성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한국의 고인돌은 크게 나누어 지상에 사면을 판석으로 막아 묘실을 설치한 뒤 그 위에 상석을 올린 북방식과 지하에 묘실을 만들고 그 위에 판석을 올린 남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이곳에 있는 3기의 고인돌은 앞 도로의 중앙부 근처에 있던 것을 1997년 국도 36호의 우회도로 공사 때 발굴조사를 거쳐 이곳으로 이전 복원한 것입니다.
 
선사시대의 유물 충남 보령 화산고인돌 사진
 
반짝반짝 선사시대의 유물을 잘 보존하였으면 좋겠어요!
여름방학도 되었으니, 산 역사 공부! 한 번 나서 볼까요? 생생한 현장에서 아이 손잡고 현장학습하기 딱 좋은 화산고인돌, 실감나는 역사공부의 현장이죠.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