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고려시대 구룡사의 상신리 당간지주

2015.03.07(토) 15:59:42지민이의 식객(chdspeed@daum.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당간지주는 사찰 앞에 비단이나 천에 부처나 보살을 수놓거나 그림을 그린 당이라는 기를 걸어놓기 위해 당간의 좌우에 세운 기둥이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찰 앞에 설치했던 건축물이라고 보면 된다. 공주 상신리에도 당간지주가 있는데 구룡사는 흔적이 없지만 당간지주는 남아 있는 상태이다. 주변지역이 신성한 영역임을 표시하는 역할을 해준다.

이 땅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당간지주는 기단부가 거의 파손된 상태이며 모두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것이라고 한다.
 

구룡사지 터에 자리하고 있는 당간지주

▲ 구룡사지 터에 자리하고 있는 당간지주


공주 상신리 당간지주를 비롯하여 금간사당간지주, 중초사지당간지주, 부석사당간지주, 숙수사지당간지주, 홍천읍 희망리 당간지주등이 존재하고 있다. 충남에서는 상신리 당간지주외에 서산에 있는 보원사지당간지주가 있다. 공주 상신리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시대 것이 아니라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시대에는 세로선 무늬가 새겨지고 간대와 기단부가 갖추어진 특징이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작고 낮은 목조 당간만 세워졌다고 한다.
 

당간지주에 대한 안내

▲ 당간지주에 대한 안내


상신리 당간지주에 대한 설명이 적혀져 있다. 보존상태가 좋지 않다는 이야기에서 출발하여 상당히 파손된것을 최근 복원하였다고 알리고 있다. 지주 아래에는 여러 개의 돌로 조합한 기단이 있으며 기단의 측면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졌다고 추정하고 있다. 인근에 구룡사라는 큰절의 당간지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뚝 서 있는 당간지주

▲ 우뚝 서 있는 당간지주


이 당간지주는 돌로 만들어져 있는데 철, 금동, 나무로도 만들었다고 한다. 2개의 기둥은 60 ~ 100cm 간격으로 양쪽으로 세우고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간을 설치하기 위한 간공이 있는데 상신리 당간지주도 자세히보면 하단에 간공이 있고 그곳에 간대나 기단부가 설치했음을 알 수 있다.
 

오래된 목조건물

▲ 오래된 목조건물


당간지주 뒷편에는 오래된듯한 목조 건축물이 보강되고 있다. 이 일대에는 발굴 조사로 대략적인 구룡사의 규모가 드러났는데 당간지주가 있는 이곳부터 법당골까지 원래의 절터로 알려져 있다. 구룡사지 뿐만이 아니라 바탕골사지, 정골사지등이 구룡사와 관련된 암자로 추정하고 있다.


공주 상신리 당간지주 (公州 上莘里 幢竿支株)는 시도유형문화재 제 94호로 지정되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