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호국 보훈의 달에 찾은 아산 현충사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298-1

2024.06.10(월) 19:00:56 | 들꽃지기 (이메일주소:psh3441@hanmail.net
               	psh3441@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

6월은 우리나라에서 호국보훈의 달로 정해져 있습니다.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희생을 기리며 그분들의 숭고한 정신을 잊지 않고 되새기기 위해 6월을 호국보훈의 달로 정한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충무공 이순신을 모시고 있는 아산의 이충무공 유허인 현충사를 찾았습니다.
 
현충사의 관람 영역은 크게 2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내인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과 실외인 이충무공 유허(현충사, 정려, 고택 등)인데 먼저 기념관으로 가보겠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2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3
<상설전시실>

기념관 1층엔 상설전시실이 있습니다. 전시실에는 이충무공이 개인적, 국가적 역경을 충성심으로 헤쳐나간 점, 전쟁 중에도 부모에 대한 공경과 자녀를 두루 살핀 자애로운 아버지의 모습, 전쟁에서는 뛰어난 지휘관으로서 전승불패의 신화를 만들어낸 충무공 이순신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위대한 업적과 정신을 기억하고자 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4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5
<실감영상실>

지하 1층에는 기획전시실과 실감영상실이 있는데, 실감영상실은 꼭 들러보시길 바랍니다.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정면과 양 옆면 등 3면에 비춰지는 이순신 관련 영상들을 보고 있으면, 웅장하면서도 가슴 깊은 곳을 울리는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6
<충무문>

기념관 관람을 마치고 밖으로 나오면 이충무공 유허로 향하는 길이 나옵니다. 안내가 잘 되어 있어서 쉽게 향할 수 있습니다. 몇 걸음 옮기면 충무문이라는 현판이 보이고, 이 문을 들어서면 이충무공 유허가 펼쳐집니다. 오래된 나무와 숲이 정갈하게 관리되고 있어서인지 약간 오르막길임에도 불구하고 마음이 편안하고 발걸음조차 가볍게 느껴졌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7
<정려>

정려란 예전에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기 위해 그 동네에 문을 세워 표창하는 일을 이르던 말, 또는 건물을 의미합니다. 현충사 내에 있는 정려는 이순신과 덕수 이씨 가문의 충신과 효자를 기리고자 편액을 만들어 마을의 입구였던 현 위치에 걸어 놓은 것입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8
<보호수, 반송>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9
<보호수, 느티나무>

현충사 내에는 보호수들이 많이 있습니다. 국가적 성웅을 모신 곳이기에 나무들까지 보존이 잘 되어 있는 것 같아 감사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보호수 수종은 반송, 느티나무, 은행나무 등이 있고, 특히나 반송은 소나무의 변종으로 가지가 밑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와서 옆에서 보면 부채꼴 모양입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0
<구 현충사>

현재의 현충사에 비하면 작고 소박한 모습이지만, 우여곡절 끝에 헐렸던 현충사를 민족 성금으로 다시 지었고, 독립유공자이자 교육자였던 정인보 선생이 현충사의 기둥에다가 이충무공의 공덕을 담은 주련을 써서 붙여놓았습니다. 관람하실 때 이 주련의 내용도 한번쯤 되새겨보시길 바랍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1
<홍살문>

홍살문은 신성한 곳이거나 격식, 예절을 갖추어야 할 장소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지로 세우던 문으로 이곳 현충사도 충무공 이순신을 모신 신성한 곳이기에 현충사 입구에도 홍살문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곳을 들어서면 충무공을 모신 사당의 영역이 펼쳐집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2
<충의문>

홍살문을 지나 조금만 오르면 가파른 계단 위에 사당으로 들어서는 충의문이 나옵니다. 짧지만 조금 가파르기 때문에 노약자들을 위해 오른쪽 옆으로 완만한 길을 조성해 놓았습니다. 충의문에 올라 앞을 보면 사당인 현충사가 보이고, 뒤로 돌아서 내려다보면 현충사 전경이 한눈에 들어올 정도로 시원스레 펼쳐집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3
<현충사>

드디어 이충무공 유허에서 핵심 공간인 사당 현충사가 신성한 듯 위용이 느껴지는 형상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충사 가운데에 이순신 장군의 영정이 모셔져 있고, 건물 안쪽 벽에는 이순신 장군 일생 중 특기할만한 사건 10가지를 묘사한 그림이 그려져 있기도 합니다. 매년 4월 28일이면 이곳에서 이순신 장군 탄신일을 기념하기 위해 정부 주관으로 제전을 올리고 있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4
<거북 등 모양의 보도블럭>

현충사를 관람하면서도 관람자 대부분이 무심코 지나치는 보도블럭의 모양이 눈에 들어와 촬영해 보았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거북 등의 모습이었고, 크기가 작아서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을 텐데, 이순신 장군과 불가분의 관계였던 거북선을 떠올릴 수 있도록 배려한 세심함이 고맙게 느껴졌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5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6
<이순신 고택>

충무공 이순신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부터 살던 집으로 이후 종손이 1960년대까지 살았던 집이라고 합니다. 집 뒤편에는 오래된 장독대와 우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이순신 장군의 위패를 보신 가묘(집안 내 사당)도 조성되어 있습니다.  호국보훈의달에찾은아산현충사 17
<활터>

충무공 이순신이 활을 쏘던 자리라고 합니다. 지금은 활쏘기 체험장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누구나 무료로 활쏘기 체험을 할 수 있고, 목요일~일요일(13:30~16:30)에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충사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 휴무일 : 월요일
 - 입장료, 주차 : 무료
 
 

들꽃지기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들꽃지기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