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 6월중순에 핀 야생화

태안해안극립공원, 대둔산충남도립공원 그리고 갑천논산지역에서 6월중순에 핀 야생화 21종 이야기

2023.06.18(일) 23:17:06 | 松山 (이메일주소:5songsan@hanmail.net
               	5songsan@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야생화 보호를 위하여 세부적인 개화장소를 공개하지 않음을 양해 바랍니다.
* 야생화 해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비너스도라지[ Venus' looking glass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초롱꽃과 >
분포지역 : 한국, 중국,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꽃이 도라지를 닮았고 비너스거울속 식물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한해살이풀이고,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외래식물이다. 높이는 20~75㎝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형 또는 심장형이다. 가장자리에 3~6개의 자잘하고 무딘 톱니가 있으며, 긴 털이 있다. 길이는 0.5~3㎝, 폭은 0.7~2㎝이고, 잎자루 없이 줄기를 감싼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하얀 액이 나온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
▲비너스도라지[ Venus' looking glass ]
  
꽃은 4~8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1~3개가 위를 향해 보라색으로 피며,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드물게 흰색으로도 핀다. 줄기 아래쪽에는 닫힌꽃(폐쇄화)이 달리고 열매를 맺는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피침형이다. 닫힌꽃의 꽃받침조각은 작고 열린꽃(개방화)의 꽃받침조각은 크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보라색 줄무늬가 있다. 수술은 5개이다.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 이고 원기둥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이 남는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3
호자덩굴(꼭두서니과의 상록 다년초. 학명 : Mitchella undulata ) 식물계 > 현화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꼭두서니목 > 꼭두서니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

호자덩굴 줄기는 땅을 기면서 자라고 털이 없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세모진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마주난다. 가장자리는 다소 물결을 이룬다. 질이 두터운 편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4
호자덩굴

6~8월에 잎겨드랑이에 1~2개의 꽃이 흰색으로 핀다. 화관은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 암술대는 1개로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장과로서 붉은색으로 익는다. 충남 안면도, 제주도, 울릉도, 다도해 도서지방에 자생하는 상록다년초이다. 국외로는 일본에 분포하고 숲속에서 자란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5
비비추난초(학명 : Tipularia japonica)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미종자목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숲속에서 자란다.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굵어진 위구(僞球)에서 1개의 잎과 꽃자루가 자란다. 잎은 좁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다. 잎몸 길이와 비슷한 잎자루가 있다.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이며 5∼15개가 총상으로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20∼35cm로서 밑에 2∼3개의 칼집 모양 잎이 달리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거꾸로 세운 듯한 좁은 바소꼴이다. 순판은 3개로 갈라지고 뒤쪽에 5mm 내외의 꿀주머니가 있다. 포는 흔적만 있다. 잎이 비비추의 잎같이 보인다고 하여 비비추난초라고 한다. 한국(제주, 대흥사 근처)·일본에 분포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6
산달래 꽃(학명 : Allium macrostemom Bunge)식물계 > 현화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타이완, 몽골, 우수기

백색 막질로 덮인 비늘줄기가 있다. 선형의 잎은 2~9개가 나와 기부가 화경을 둘러싸고 표면에 홈이 있다. 5~6월에 꽃자루 끝에 흰색, 또는 분홍색의 꽃이 산형화서를 이루며 화피편은 장타원형으로 6개이다. 수술과 암술대는 길고 화경은 높이 40~80cm 정도로 자란다. 꽃의 일부가 살눈으로 변한다. 열매는 삭과이다.
전국 각처의 산과 들, 풀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 일본, 타이완, 몽골,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7
매화노루발(학명 : Chimaphila japonica Miq.)식물계 >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노루발과
분포지역 : 한국

매화노루발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자라는 상록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숲 속 반그늘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키는 5~10㎝이고, 잎은 두꺼운 각질을 가진 넓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낮은 톱니가 있다. 꽃은 백색으로 지름은 1㎝ 정도이고, 반 정도 벌어지며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꽃자루 끝에 1~2개의 꽃이 아래를 향해 달린다. 열매는 8~9월경에 달리고 지름은 5㎜정도며 암술머리가 붙어 있다. 상록성이기 때문에 쉽게 이 품종을 발견할 수 있지만 잎이 너무 작아 찾기 어려운 품종이다. 줄기가 올라와서 꽃이 달리고 약 한 달 정도 있어야 개화하는 품종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8
해당화(海棠花 학명 : Rosa rugosa THUNB)

해당화의 높이는 1.5m에 달하고, 줄기에 가시·자모(刺毛) 및 융모(絨毛)가 있으며 가시에도 융모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홀수 깃모양겹잎으로 5∼7개의 소엽이 있다. 작은잎은 두껍고 타원모양 또는 타원상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2∼5㎝로서 표면은 주름살이 많고 윤채가 있으며 털이 없고, 이면은 맥이 튀어나오고 잔털이 밀생하며 선점(腺點)이 있고 톱니가 있다.
지름 6∼9㎝의 꽃이 5∼7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향기가 강하고 꽃자루에는 자모가 있다. 과실은 가장과(假漿果)로 구형이며 8월에 황적색으로 익는다. 해변의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의 전 해안 사지에서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곳이 드물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9
갯메꽃(학명 : Calystegia soldanella)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전북·경남·경북·강원·경기·황해·함남) 바닷가 모래밭

개메꽃·산엽타완화라고도 한다. 바닷가의 모래밭에서 자란다.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갈라져 땅 위로 뻗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신장 모양으로 윤이 난다. 잎 길이는 2∼3cm, 나비는 3∼5cm이며, 잎자루 길이는 2∼5cm이다. 잎 끝은 오목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요철이 있는 것도 있다.꽃은 5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잎보다 길게 나온다. 포는 총포처럼 꽃받침을 둘러싼다. 화관은 지름 4∼5cm로서 희미하게 5개의 각이 지며 수술 5개, 암술 1개가 있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0
노루발풀(학명 : Pyrola japonica)식물계 >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노루발과

산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늘푸른여러해살이풀로, 꽃 모양이 노루 발굽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노루발은 겨울에도 눈속에서 푸른 잎이 지지 않은 채 그대로 달려 있는데, 겨울이 지나면 묵은 잎이 떨어지고 새 잎이 돋아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1
노루발풀
   
노루발 뿌리는 땅속으로 깊이 뻗지 않고 옆으로 길게 뻗는데, 옆으로 뻗은 뿌리마디에서 싹이 나와 자란다. 잎자루는 길고, 잎은 끝이 뭉뚝한 달걀형이며, 가장자리에는 얕은 톱니를 갖고 있다. 또 잎이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잎맥이 뚜렷하다는 특징이 있다. 6~7월경 꽃대 위쪽으로 흰꽃이 피기 시작하며, 9월에는 열매가 익는다. 열매는 다 익으면 다섯 갈래로 갈라진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2
옥잠난초[玉簪蘭草 학명 : Liparis kumokiri]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미종자목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옥잠난초는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 20~30cm이며 알줄기 모양의 줄기는 땅 표면에 있으며 녹색이고 마른 잎자루로 싸여 있으며 끝에서 2개의 잎이 나온다. 잎은 달걀 모양이며 부드럽고 다소 육질로 가장자리에 잔주름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연한 녹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총상으로 달린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3
박쥐나무(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산형목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이 야상화는 숲속 돌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3m 정도이다. 줄기는 밑에서 올라와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외피가 흔히 벗겨진다. 작은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고 어릴 때는 녹색이다.잎은 어긋나고 사각 모양 원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7∼20cm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또한 양면에 잔 털이 있고 밑에서 손바닥 모양 맥이 갈라지며 잎자루는 길이 2∼4cm이다.꽃은 양성화이며 5∼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피고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4
산딸나무(학명 : Cornus kousa)

우리나라 중부 이남 어디서나 비교적 잘 자라는 산딸나무는 낙엽 활엽수로서 표고 300~500m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수고 12m, 직경이 50cm까지 크는 나무로 한라산에서는 해발 1,800m 되는 곳에서도 자란다.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경에 흰색 순결한 꽃이 매우 아름답다. 총포가 넉 장으로 십자가 모양인데 탐스럽고 청아하여 누구라도 좋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실 때 이 나무로 십자가를 만들었다고도 하는데 묘하게도 넉 장의 꽃잎이 십자가를 닮아서 기독교인들이 특히 이 나무를 성스러운 나무로 여기고 있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5
괭이밥(학명 : Oxalis corniculata)
 분포지역 : 한국·일본·타이완·아시아·유럽·북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아메리카

초장초·괴싱이·시금초라고도 한다. 밭이나 길가,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는 10∼30cm이며 가지를 많이 친다. 풀 전체에 가는 털이 나고 뿌리를 땅속 깊이 내리며 그 위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옆이나 위쪽으로 비스듬히 자란다.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갈래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거꾸로 세운 심장 모양으로 길이와 너비가 각각 1∼2.5cm이고 가장자리와 뒷면에 털이 조금 난다.꽃은 5∼9월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는데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나와 그 끝에 1∼8개의 노란색 꽃이 핀다. 화관은 작고 꽃잎은 5개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잎도 5개이고 바소꼴이다. 수술은 10개인데 5개는 길고 5개는 짧다. 1개의 씨방은 5실이고,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원기둥 모양이고 주름이 6줄 지며 익으면 많은 씨가 나온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6
쥐똥나무(학명 :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식물계 >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로 줄기가 여러 개 올라와 키 2~4m 정도로 비틀리듯 자란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전체가 넓게 둥그스름해진다. 땅 속에 뿌리들이 단단히 뒤얽혀 있다.
낮은 산에서 높은 산까지 50~700m 고지의 양지바른 기슭, 들판에 주로 서식한다. 경쟁 나무가 없으면 쉽게 군락을 이룬다. 5~6월에 가지 끝에 흰색으로 꽃이피고, 검은 쥐똥 같은 열매가 겨울에도 달려 있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7
인동덩굴[ 忍冬-  학명 : Lonicera japonica]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산토끼목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길이 약 5m이다. 줄기는 오른쪽으로 길게 벋어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올라간다. 가지는 붉은 갈색이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마주달리고 긴 타원형이거나 넓은 바소꼴이며 길이 3∼8cm, 나비 1∼3cm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대에 달린 잎은 깃처럼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약 5mm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붉은색을 띤 흰색이지만 나중에 노란색으로 변하며, 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향기가 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8
싸리나무(학명 : Lespedeza Michx. Var japonica Mak) 분류 : 자연지리정보관>동식물>식물>싸리나무

낙엽(落葉) 관목(灌木)이며 높이는 1~1.5m이고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세 개의 소엽(小葉)으로 된 복엽(複葉)이며 긴 엽병(葉柄)이 있다. 소엽은 광타원형(廣楕圓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끝은 둥그스름하고 변두리는 매끈하다. 7~8월경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루고 적자색의 접형화(蝶形花)가 많이 핀다. 악편(?片 片)의 끝은 뾰족하다. 열매는 작은 협과(莢果)이며 타원형이고 표면에 누운 털이 있다. 잎에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등과 아스코르빈산(170mg%)이 있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19
까치수염(학명 : Lysimachia barystachys)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앵초목. 
   분포지역 : 한국,

까치수영·꽃꼬리풀·개꼬리풀이라고도 한다. 낮은 지대의 약간 습한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땅속줄기가 퍼지고 풀 전체에 잔털이 난다. 줄기는 붉은빛이 도는 원기둥 모양이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 긴 타원형이며 길이 6∼10cm, 나비 8∼15mm이다. 톱니가 없고 차츰 좁아져 밑쪽이 잎자루처럼 되나 잎자루는 없으며 겉에 털이 난다.
6∼8월에 흰색 꽃이 5∼12개 줄기 끝에서 산형꽃차례로 피는데 꽃차례는 꼬리 모양이고 꽃 지름은 7∼12mm이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4∼7mm이며 포는 줄 모양이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0
    자귀나무(학명 : Albizia julibrissin)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분포지역 : 한국(황해도 이남)·일본·이란·남아시아

자귀나무는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로 합환수(合歡樹)·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이런 연유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를 마당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윗부분이 홍색이다. 꽃이 홍색으로 보이는 것은 수술의 빛깔 때문이다. 열매는 9월 말에서 10월 초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이고 길이 15cm 내외로서 5∼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1
      원추천인국(학명 : Rudbeckia bicolor Nutt.)

원추천인국이란 통상화관북가 원뿔모양으로 자라는 천인국(天人菊)이란 뜻이라고 생각된다.
잎은 어긋나며, 근생엽이나 아래쪽 잎 엽병 있고, 줄기잎 엽병 없음. 잎 피침형, 긴타원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 두껍고, 길이 2.5~5cm, 첨두, 예저 또는 원저, 거치 있거나 없다.
꽃은 머리모양꽃차례, 머리모양꽃차례 지름 5~8cm, 혀꽃 황색, 아래쪽 자갈색, 길이 1.5~2.5cm. 통상화 암적색 또는 흑색, 길이 1.8cm, 관모는 없다.
열매는 수과이고. 줄기는 높이 30~50cm이고 털이 있어서 거칠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2
밤나무(학명 : Castanea crenata S.et Z.)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나무 높이가 20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 모양을 이루고, 나무 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러우며, 꽃은 5월에 핀다. 울릉도 특산으로 높이 300∼900m에 분포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3
남개연 : 수련과(Nymphaeaceae) 학명 : Nuphar pumilum

다년생 부엽성 수생식물. 줄기는 1m에 달한다. 성숙된 잎은 장타원형, 길이 8-12㎝, 폭 7-8㎝, 미요두, 기부는 화살모양, 둘로 갈라진 열편의 기부는 좁아진다. 표면은 녹색 광택이 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4
남개연
 
이면 미모, 엽병은 속이 차 있다. 꽃은 6-9월에 정생, 꽃은 컵 모양, 직경 2-3㎝정도, 꽃받침은 5개, 황색 광택, 끝은 둥글고 기부는 좁아진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작고 다수, 직사각형, 연한 황색, 길이 5-6㎜, 수술은 많고 화사는 7-9㎜,약은 3㎜정도, 주두는 8개, 붉은 색, 주두반 직경은 8㎜내외, 종자는 난원형.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5
남개연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6
남개연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7
남개연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8
올챙이고랭이(학명 : Scirpus juncoides Roxb) 생물학적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고랭이속

논과 저지대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짧게 뻗는다. 줄기는 모여 나며 꽃차례를 제외한 높이는 25-72cm, 지름 1-2mm, 단면은 둔한 다각형이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29
올챙이고랭이
  
올챙이고랭이 잎은 줄기 밑부분에서는 비늘 모양으로 달리고 그 위에서는 잎집으로 달린다. 잎집은 막질로 길이 5-15cm이다. 꽃은 6-7월에 줄기 옆에서 나온 이삭꽃차례에 핀다. 포는 줄기의 연장으로 되어 있다. 화피강모는 6개, 수술은 3개, 암술머리는 2-3개다. 열매는 수과로 넓은 도란형이다. 올챙이골로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대만(타이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태안해안극립공원대둔산충남도립공원갑천논산지역6월중순에핀야생화 30

 

松山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松山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eongkeun.oh.1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