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전세가율 높은 보령ㆍ당진, 불안한 세입자들

[이슈&포커스] 최근 8개월 동안 충청권에서 200억 원 넘는 전세 보증피해 발생, 깡통전세 우려 커져

2023.05.04(목) 10:49:29 | 서해안신문 (이메일주소:fire4222@nate.com
               	fire4222@nate.com)

▲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이 너무 높아 세입자들의 불안감이 크다.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없음

▲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이 너무 높아 세입자들의 불안감이 크다.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없음


충남지역 깡통전세 위험성이 상당히 높은 편으로 분석돼 세입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1년간 충남 아파트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은 79.9%, 연립·다세대 주택은 82% 수준이다. 80% 이상의 전세가율을 깡통 전세로 취급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충남 연립·다세대 주택은 깡통전세 위험군으로 분류된 것이다.

충남 내에서는 보령(85%) 다음으로 당진 부동산의 전세가율이 높다. 연립·다세대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연립·다세대의 전국 전세가율은 77.1%며, 당진은 이보다 높은 83.6%다.

이외에도 전국적으로 깡통전세 우려 지역은 △강원 4곳(동해·태백·삼척·고성) △충북 6곳(청주 상당구·청주 서원구·청주 청원구·충주·제천·진천) △충남 2곳(보령·당진) △전북 3곳(군산·익산·완주) △전남 4곳(목포·순천·광양·영암) △경북 6곳(포항 남구·포항 북구·경주·안동·구미·영주) △경남 6곳(창원 마산합포구·창원 마산회원과·사천·밀양·함안·고성) 등이다.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 중 다수가 산업단지가 있어 배후 수요를 갖춘 지역이 많다. 일자리를 찾아 잠시 거주하기 위해 지역을 찾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당진은 매매가격의 상승폭이 적지 않으면서도 일자리로 인해 전세 수요는 높아 이전부터 높은 전세가를 유지해 왔다.

한편, 최근 8개월 동안 충청권에서 200억 원이 넘는 전세 보증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 내 수천 건의 갭투자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조사돼 향후 추가적인 깡통전세 피해가 우려된다.

한국부동산원 임대차사이렌 보증사고현황에 따르면 전세 보증피해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해 8월부터 올 3월까지의 충청권 전세 보증사고는 103건에 달한다. 사고금액은 204억 9927만 원에 이른다.

매달 평균 12건 안팎의 보증사고와 25억 원 이상 피해가 발생한 셈이다. 보증사고는 세입자가 전세계약 해지 또는 종료 후 1개월 내에 전세보증금을 되돌려 받지 못하거나, 전세계약 기간 이뤄진 경매와 공매에 따라 배당 이후에도 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뜻한다.

충청권 보증사고의 절반 이상은 충남에서 이뤄졌다. 해당 기간 충남에선 모두 55건의 전세피해(101억 2427만 원)가 발생했다.

특히, 충남 천안시 쌍용동의 갭투자 거래가 논란이다. 쌍용동에선 1340건의 갭투자 거래 체결이 이뤄져 수도권 3개 동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보였다. 이 밖에도 2020년 하반기엔 충북 청주시 복대동에서 172건, 2021년 하반기엔 대전 동구 천동에서 297건의 갭투자 거래를 기록했다.
 

서해안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서해안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