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통일신라 천년고찰 ‘무량사(無量寺)’

대웅전 앞의 붉은 목단이 부처의 마음인가!!

2022.05.07(토) 17:45:07 | 자유새 (이메일주소:noblesse0550@hanmail.net
               	noblesse0550@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경내에 꽉 차게 걸려 있는 연등들

▲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경내에 꽉 차게 걸려 있는 연등들


부처님 오신 날 하루 전 고향 가는 길에 들린 부여 무량사
.

1400여 년의 역사 속에 많은 중생들의 발길이 닿았을 산사.

주변의 우거진 녹음, 대웅전 앞에 피어있는 붉은 목단의 초연한 모습,

대웅전 높은 처마에서 들려오는 풍경소리.

무량사(無量寺)에 올 때마다 생사를 초월한 듯한 풍광에 사로잡힌다.

막바지 봄의 선물을 마음에 담아왔다.
 

무량사 일주문

▲ 무량사 일주문


부여 무량사(無量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서 통일신라 문성왕(서기 839-856) 때 범일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고려 초기에 대중창(크게 보수하다)하여 대웅전, 극락전, 천불전, 응진전, 명부전 등의 불전과 30여 동의 요사와 12암자가 있었다고 하나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없어지고 조선 인조(1623~1649) 때 진묵선사에 의해 중수(건축 등 낡고  것을 손질하며 고침)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무량사 대웅전

▲ 무량사 대웅전


통일신라 천년고찰로 무량(無量)’이란 셀 수 없다는 뜻, 목숨을 셀 수 없고 지혜를 셀 수 없는 곳이 바로 극락이니 극락정토를 지향하는 곳이 바로 무량사라 한다. 국내 사찰 중에서 가장 많은 보물을 보유하고 있는 사찰로 유명하다.
 

무량사 오층석탑

▲ 무량사 오층석탑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33호로 지정된 무량사 석등과 보물 제185호로 지정된 무량사 오층석탑, 절 문 앞에 있는 거대한 당간지주(幢竿支柱), 김시습의 부도 등이 있다.

산신각에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영정각에는 김시습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김시습 영정

▲ 김시습 영정


그 몸은 누구보다도 자유로웠지만, 시대의 아픔을 목도한 채 그 정신마저 자유롭지는 못했던 한 지식인의 삶을 김시습에게서 본다.

김시습 부도

▲ 김시습 부도


나는 어려서부터 성격이 질탕(跌宕)하여 명리(名利)를 즐겨하지 않고 생업을 돌보지 아니하여, 다만 청빈하게 뜻을 지키는 것이 포부였다. 본디 산수를 찾아 방랑하고자 하여, 좋은 경치를 만나면 이를 시로 읊조리며 즐기기를 친구들에게 자랑하곤 하였지만, 문장으로 관직에 오르기를 생각해보지는 않았다. 하루는 홀연히 감개한 일(세조의 왕위찬탈)을 당하여 남아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도()를 행할 수 있는데도 몸을 깨끗이 보전하여 윤강(倫綱- 삼강오륜)을 어지럽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며, 도를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홀로 그 몸이라도 지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였다.” - 김시습 [탕유관서록(宕遊關西錄)] 후지

  

동자승

▲ 동자승
 

석등 사이로 보이는 대웅전 모습

▲ 석등 사이로 보이는 대웅전 모습


마음을 닦는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의 작가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세조에게 밀려난 단종에 대한 신의를 끝까지 지키며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자연에 은거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그의 일생은 동가숙서가식하는 떠돌이의 삶이었지만 배운 것을 실천에 옮기는 지식인의 의무에는 누구보다 엄격하였다. 율곡 이이로부터 백세의 스승이라는 칭송을 들었던 김시습. 오늘도 걷는 이길, 그가 걷던 그 날의 바람이 불어온다.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자유새님의 다른 기사 보기

[자유새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