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정착할 일자리 없고 주택ㆍ가족 문제로 고민

[충남] 타 지역으로 떠나는 충남 청년들, 현장에서 나타나는 현실과 대책은

2022.02.04(금) 17:17:37 | 서해안신문 (이메일주소:fire4222@nate.com
               	fire4222@nate.com)

 

2일 대천해수욕장에서 만난 청년들

▲ 2일 대천해수욕장에서 만난 청년들


충남지역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구조와 전공계열 미스매칭 등에 따른 지역 내 일자리 문제와 수도권에서 온 충남 지역 대졸자의 서울·경기권 취업 성향 등으로 지역 이탈률이 높은 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충남 소재 기업들의 데이터베이스, 청년지원사업 관리 및 홍보, 취업·직무 정보 등을 제공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최근 충남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충남 청년 전출 원인으로는 일자리 문제가 33.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택과 가족 문제가 각각 26.5%와 24.7%를 차지했다.

또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9)를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 대졸자의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취업 비율이 64.4%를 차지했다. 그리고 지역 내 취업 비율은 22.1%로 타 시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양중 연구위원은 지역 내 청년 취업과 성장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서는 △취업 준비를 위한 교육비 지급 등을 위한 청년 포인트 제도 △청년 선호 일자리 창출과 지역 정착을 위한 주택 마련 및 창업 지원 △도내 대학과 연계를 통한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전략 산업 계약학과 등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연구 결과, 일자리 부족, 지리적 여건 등으로 충남 지역 대졸자의 지역 내 취업 비율이 저조하기 때문에 충남 지역 청년들의 지역 내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맞춤형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 충남도는 총 416억 원이 투입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2235명의 청년에게 맞춤형 지역 일자리를 제공한다.

충남도는 인구감소 및 청년유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 다시 청년들이 유입될 수 있도록 지원해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계획이다.

23일 충남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주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공모에서 확보한 국비 200억 원과 지방비를 매칭해 기존 57개 사업과 신규사업 38개 등 총 95개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은 △지역혁신형(신규) △상생기반대응형(신규) △지역포용형(신규) △지역정착지원형(기존) △지역포스트코로나대응형(기존) 등 5개 유형으로 나뉜다.

신규사업 중 충남 특화기업 일자리 청년매칭 사업 등 20개 사업은 참여 사업장 및 청년 824명을 선정해 2년 동안 월 200만 원(기업부담 10-20%) 수준의 인건비를 지원한다. 3년차에 취업·창업 정착하는 청년에게는 추가로 1000만 원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54명을 모집하는 창업청년 성장지원 7개 사업은 연간 1500만원의 창업지원경비를 지원하고, 2차 연도에 청년을 추가 채용하면 1년 인건비를 추가 지원한다.

지역기업기반이 약한 소멸위기지역 관련 2개 사업은 신규 창업 28명을 모집해 1년차 창업성공 시 2년차까지 연간 1500만원의 창업지원경비와 3차 연도에 청년을 신규 채용하면 1년 인건비를 지급한다.

사회적경제 청년도약 지원사업 등 9개 사업은 참여 사업장 및 청년 111명을 선정해 월 187만여 원(기업부담 10%) 수준의 임금과 직무교육 등을 지원한다. 기존 지역정착지원형과 지역포스트코로나대응형 사업에는 1218명이 참여 중이다.
 

서해안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서해안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