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심방세동 노인, 치매위험 1.5배 높다

단국대 김동민 교수 공동연구팀, 노인환자 26만명 발병률 조사

2019.06.28(금) 07:33:45 | 충남시사신문 (이메일주소:yasa3250@empas.com
               	yasa3250@empas.com)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의 흐름이 불규칙해 생긴 혈전(피떡)으로 뇌졸중의 위험요인이다.

▲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의 흐름이 불규칙해 생긴 혈전(피떡)으로 뇌졸중의 위험요인이다.


심방세동이 있는 노인의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국대병원(병원장 조종태) 심장혈관내과 김동민 교수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 교수,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양필성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60세 이상 노인인구 중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 위험을 1.5배 높인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적 심장질환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23.425)’ 최신호에 게재됐다.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의 흐름이 불규칙해 생긴 혈전(피떡)으로 뇌졸중의 위험요인이다. 실제 심방세동은 뇌졸증 발생 위험이 5배 높고, 전체 뇌졸중 20%가 심방세동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로 치매를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뇌경색 없는 상태에서 심방세동과 치매와의 연관성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노인환자 26만명 대상 치매 발병률 조사

단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김동민 교수는 “60세 이상 노인인구 중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 위험을 1.5배 높인다”고 밝혔다.

▲ 단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김동민 교수는 “60세 이상 노인인구 중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 위험을 1.5배 높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자료를 통해 60세 이상의 노인환자 26만2611명을 대상으로 심방세동이 발생한 환자 1만435명과 심방세동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 2만612명으로 분류해 치매 발생 위험도를 조사했다. 두 환자군에서 등록 당시 인지기능검사에서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년 동안 추적관찰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 중 2536명(24.3%)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심방세동이 없는 환자에서는 3174명(15.4%)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치매 발병 위험도가 1.5배 이상 높았다. 이런 위험성은 추적기간 중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도 유의하게 나타나 뇌경색과는 별도로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의 형태별로는 혈관성 치매의 경우 2배, 알츠하이머 치매는 약 1.3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해도 큰 차이는 없었다.

항응고제 복용환자 치매위험도 낮아져


표: 심방세동 치매 발생위험 증가율

 

뇌경색 포함

뇌경색 제외

구 분

모든 치매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모든 치매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치매 발생위험

증가율

52%

31%

211%

27%

24%

36%


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치료가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도 추가로 분석했다. 심방세동 환자 중 항응고치료를 시행한 환자 3092명(29.6%)과 그렇지 않은 환자를 비교한 결과 항응고제를 복용한 환자에서 모든 치매 발생 위험도가 약 40%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 50%로 조사됐으며, 혈관성 치매는 약 20%로 낮아졌다.
 

충남시사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남시사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