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외암민속마을의 제17회 짚풀문화제

2016.10.17(월) 21:49:18 | 지민이의 식객 (이메일주소:chdspeed@daum.net
               	chdspeed@daum.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아산에는 전주의 한옥마을과 전혀 다른 느낌의 민속마을이 있다. 예안 이씨 집성촌으로 이루어진 아산 외암 민속마을은 중요 민속문화재 236호로 지정된 곳이다. 상당 부분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용인 민속촌이나 최근 너무 많은 색깔이 묻어서 예전 모습을 잃어버린 전주 한옥마을과 달리 외암마을은 푸근함과 정겨움이 있다.

아산 외암민속마을
▲ 아산 외암민속마을

집성촌으로 형성된 이 마을에서는 매년 이 맘 때면 짚불 문화제를 연다.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열린 짚풀 문화제에는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와서 한가운데 들어서 있는 가을의 부위 기와 익어가는 벼의 풍성함을 몸소 체험하고 돌아갔다. 

상여행렬의 재연
▲ 상여행렬의 재연

짚풀문화제 기간에는 수많은 공연뿐만이 아니라 지금은 보기 힘든 상여행렬 재현도 지켜볼 수 있다. 마을 사람 중 누군가가 세상을 떠났을 때 하는 상여행렬은 고유 행사 중 하나였지만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즐거운 체험행사
▲ 즐거운 체험행사

너른 마당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체험 행사 덕분인지 몰라도 이곳을 찾은 사람들의 얼굴 표정은 매우 밝아 보였다. 2016년에 개최된 제17회 짚풀 문화제의 슬로건은 '조상의 슬기와 숨결을 찾아서'로 이곳에서 하는 체험 중 계란꾸러미 만들기 체험은 큰 인기를 누리며 수백 명이 몰리기도 했다. 

외암민속마을의제17회짚풀문화제 1

지역마다 열리고 있는 축제가 오래 지속되기 위해서는 그 마을에 사는 주민들이 주인이 되어야 가능하다.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는 행사를 만드는데 그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시골 전통마을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살리고 옛 정취를 느끼게 하는 것이 차별성을 가져가는 길이다.

외암민속마을의 가을길
▲ 외암민속마을의 가을길

가을은 가을인가 보다. 걸어가는 사람들 뒤로 여유와 가을만의 색채가 느껴지니 말이다. 걸어가는 뒷모습만 보아도 가을이 어떤 것인지 그냥 느낌으로 만도 알 수 있을 듯하다. 올해의 짚풀문화제  행사에는 최근에 완공된 저잣거리를 축제의 장으로 활용해 방문객들에게 더 많은 볼거리와 살거리를 제공하고 있었다. 

황금색 물결
▲ 황금색 물결

황금색의 들판이 풍요를 상징한다. 황금색의 벼 사이로 들어가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의 얼굴에는 풍요로움과 행복함이 가득해 보인다. 초가집을 만들 때 사용했던 짚풀은 서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옛날 서민들이 살던 초가집은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흙과 나무, 짚을 사용 해서 만들었다. 자연과 함께 어울려서 살던 초가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의미한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진행된 새마을 운동은  전국에 있는 초가집을 모두 없애고 시멘트와 슬레이트로 만든 집으로 모두 바꾸었다.

가을 색채
▲ 가을 색채

이렇게 마을 아이들이 모여서 가을에 익어가는 밤을 구워 먹던 것도 이제 축제기간에나 잠시 접해볼 수 있는 체험으로 밀려났다. 한반도는 농경문화에서 시작된 곳으로 쌀을 재배하면서 나오는 볏짚은 단열도 좋고 보온도 좋아서 우리 땅에 아주 잘 어울리는 재료 중 하나였다. 부정을 타지 말라고 짚풀로 주변을 둘러싸거나 아이를 낳았을 때, 액을 막을 때에도 볏짚으로 만든 금줄을 둘렀다. 짚은 단순히 쌀을 생산하고 남은 부산물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신성시할만한 그런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
 
밤을 굽는 아이들
▲ 밤을 굽는 아이들

아산 외암리 민속마을은 최근 완공된 저잣거리가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이곳에 가면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가마니, 멍 성, 동고리, 쇠신, 짚신, 밧줄, 자리, 망태기 등 짚으로 만든 수많은 생활도구들을 만나볼 수 있고 다양한 먹거리도 접해볼 수 있다. 

저잣거리의 체혐행사
▲ 저잣거리의 체혐행사

생활용품의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했던 짚은 서민문화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재료였다. 특히 땅이 부족했던 섬사람들은 무덤을 쓰는 대신에 짚으로 이엉을 덮어 비바람을 가린 초분으로 가묘를 쓴 다음 시체가 모두 썩으면 다시 모아서 묻는 방식으로 땅을 절약하기도 했다. 군산에 있는 근대역사박물관에 가면 고군산군도 일대에 있었더 초분 문화를 접해볼 수 있다.

저잣거리의 다양한 민속놀이
▲ 저잣거리의 다양한 민속놀이

올해 짚풀 문화제를 찾아온 사람들과 차량으로 인해 이 일대는 인산인해를 이루고 차량 정체가 일어나기도 했다. 앞으로도 축제의 방향성을 유지하고 외암 민속마을의 전통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를 기대해본다. 

 

지민이의 식객님의 다른 기사 보기

[지민이의 식객님의 SNS]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hongdae
  • 트위터 : www.twitter.com/chdspeed
  • 미투 : chdspeed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