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벤처창업 무한한 상상과 잠재력을 깨우다

전공지식은 기본 실무능력 강화로 취업률 충남북 ‘1위’

2016.02.24(수) 09:31:00 | 충남시사신문 (이메일주소:yasa3250@empas.com
               	yasa3250@empas.com)

벤처창업무한한상상과잠재력을깨우다 1


[탐방] 호서대학교 LINC사업단

호서대학교(총장 강일구) LINC사업단은 벤처·창업과 산학협력의 특성화된 강점을 살려 산학협력 구심체로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특히 2012년에 유치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LINC사업)은 산학협력에 관한 호서대학교의 노하우와 비전을 집대성한 사업으로 장기발전계획인 ‘특성화 분야에서의 World Class 도약’을 목표로 2030년까지 New IT, 차세대 에너지, 융합기계부품, 의약·바이오 등 특성화 분야를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호서대 LINC사업단은 벤처정신을 가진 건강한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산협력을 통한 다양한 경험과 미래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호서대 LINC사업단은 벤처정신을 가진 건강한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산협력을 통한 다양한 경험과 미래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46개 기업과 결연, 산학협력 차별화

올해로 4년차에 접어든 LINC사업은 산학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2014년 충남북 1위, 전국 4위에 해당하는 취업률 61.6%(LINC 참여학과 66.8%)의 기록이 그동안 산학맞춤형 교육과정과 취업역량 향상을 위해 매진한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호서대 LINC사업단에서는 1046개 기업과 가족회사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또 가족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해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현장실습과 글로벌 창업동아리, 호서 산학 기동대 활동을 들 수 있다.

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현장실습은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 4주 160시간 이상 산업현장에서 현장실습 교육을 통해 전공지식과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실습 기간에 따라 2학점에서 18학점까지 학점을 인정하고 있으며, 2015학년도 하계에는 176개 기업과 학생n 413명이 참여했다.

산학 미니클러스터는 특성화 관련 5개 분야에 45개 기업과 교수 10명, 학생 200명이 참여해 기업과 학내 교수 및 학생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기업의 애로 기술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교육과정개선위원회는 산업체와 연구소, 학내 교수를 운영위원으로 위촉해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대학 정규교과 및 비정규교과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있다. 2015학년도에는 4개의 융·복합연계전공 및 맞춤형 트랙을 운영했다.

이와 함께 다양한 비교과과정 실무능력 강화 프로그램도 실시하고 있다. 글로벌 역량 강화 어학교육 프로그램과 벤처 CEO 서포터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5학년도 현재 789명이 참여한 기업가정신 창창 견학, 3484명이 참여한 외부전문가 초청 특강 등을 통해 전공지식과 현장 이해도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국내외 산업현장을 이해하기 위해 주요 행사장을 찾아 체험하는 것은 기본이다.

▲ 국내외 산업현장을 이해하기 위해 주요 행사장을 찾아 체험하는 것은 기본이다.


e-PEAK 창업지원으로 글로벌 CEO 육성

호서대학교 캠퍼스는 크루셜텍㈜ 등 30여 개의 기업과 안전성평가센터 및 나노,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소 등이 밀집된 국내 최대 규모의 산학연 클러스터가 구축돼 있다. 1995년 국내 대학 최초로 설립한 창업보육센터를 비롯해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3D 프린터 10대를 갖춘 무한상상실 거점센터까지 창조경제 시대에 맞춘 창업교육 및 지원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호서대 LINC사업단 창업교육센터는 창업 유관기관 센터장들이 실무위원으로 참여해 아이디어 발굴(무한상상실), 아이디어 구체화(창업교육센터), 아이템 사업화(학생창업보육센터, 벤처창업보육센터), 예비창업(창업사업화특화센터), 사업화 촉진(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으로 이어지는 대학 내 창업 지원 전 분야를 아우르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또 호서 e-PEAK 창업교육지원시스템을 구축, 창업 준비(Prepare), 창업 발굴(Expore), 창업 실행(Action), 창업 확산(Kick-off) 단계에 이르는 창업 전(全) 단계를 일원화 관리하고, 대학 내 각종 시스템들과 연동을 통한 성과확산 및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성과로 중국 산동대와 글로벌 창업동아리 5팀을 구성해 4팀은 중국 산동대와 호서대 학생들이, 1팀은 중국 기업과 호서대 학생들이 팀으로 매칭해 글로벌 창업동아리 활동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호서대 청년장사꾼들이 전국 대학생들과 치열하게 경쟁하며 곳곳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 호서대 청년장사꾼들이 전국 대학생들과 치열하게 경쟁하며 곳곳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협동조합·사회적기업 산학협력 통한 1차 산업 활성화

호서대학교 LINC사업단은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 내 협동조합, 사회적기업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1차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는 그 동안 공학위주의 산학협력에서 탈피한 특성화한 산학협력으로 낙후된 지역 경제를 좀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분야 전문가, 학생, 재정지원을 통해 파트너 기업과 공동기술개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과 기업의 판로개척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벤처·창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작은 아이디어 하나라도 더 습득하기 위해 선배 기업인들의 노하우를 전수받고 있다.

▲ 벤처·창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작은 아이디어 하나라도 더 습득하기 위해 선배 기업인들의 노하우를 전수받고 있다.


맞춤형 기업지원 서비스 ‘호서 산학 기동대’

호서대는 산학협력분야 업무를 기업지원 콜센터(1588-5012)로 일원화하고 호서산학기동대를 운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학-기업간의 접근성을 높이고 신속한 기업상담을 지원하고 있다. 기업 애로기술 접수에 따른 관련 전문가 매칭과 현장방문 상담을 통한 조속한 대응 문제 해결 지원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

대학과 기업의 기술교류 및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산학협력을 이루기 위해 산학협력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분야별 산업에 속하는 10개 이상의 기업 임직원, 기관 담당자, 학내 교수가 참여해 애로사항 논의와 해결 우수사례 공유 자리도 마련하고 있다. 2015학년도에는 10개 분야 10개 협의회가 원활하게 운영됐다.

기업의 수요를 반영해 유기적 연계를 통한 빠른 기업지원을 위해 공동장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집적화된 보유장비를 토대로 가족기업 및 관련 기업에 장비운용 전문기술 교육 등의 기업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또 지역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재직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재직자의 실질적인 교육수요에 맞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첨단장비교육 및 산업 맞춤 재교육 7개 과정이 개설돼 180여 명이 수강했으며, 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지속성장 가능기업으로서의 발판을 마련했다.

호서대는 맞춤형 기업 지원서비스를 통해 현장견학, 현장실습, 취업연계 등 다양한 시너지 창출로 대학과 기업이 윈윈하는 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진우 LINC사업단장은 “창조경제시대 벤처정신을 가진 현장형 리더를 배출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산학협력을 통한 다양한 경험 및 원하는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올해는 창의적 산학협력으로 창조경제를 실현하고 지속적인 성과 확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호서대 학생들은 세계의 시장을 이해하고 국제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산동대 학생, 중국기업과 매칭한 창업동아리활동을 하고 있다.

▲ 호서대 학생들은 세계의 시장을 이해하고 국제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산동대 학생, 중국기업과 매칭한 창업동아리활동을 하고 있다.

 

 

충남시사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남시사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