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영상뉴스

수확 후 볏짚은 논으로 되돌려 주세요

도 농기원, 녹비작물 재배 등 토양 유기물 공급 당부

2013.10.22(화) 16:35:14 | 충청남도 (이메일주소:chungnamdo@korea.kr
               	chungnamdo@korea.kr)

undefined

▲ 벼 수확후 헤어리베치 개화.


충청남도농업기술원은 22일 가을 수확철을 맞아 도내 재배농가에 유기물이 풍부한 볏짚을 논으로 되돌려 줄 것을 당부했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최근까지 우리나라는 식량 증산을 목표로 한 미곡 중심 작부체계 하에 과도한 화학 비료를 사용해 미곡 수확량은 현저히 늘어났지만, 토양 물리성이 악화되어 지력이 떨어지는 등 토양환경이 악화됐다.
 
이 같은 토양 물리성의 약화는 벼의 생육이 나쁘게 한데다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는 등 쌀 품질을 떨어뜨리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내 재배농가에서는 토양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볏짚을 논으로 돌려주거나 녹비작물을 재배하는 등의 노력들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볏짚을 논에 시용하는 것이 양질의 유기물을 토양에 되돌려 주는 효과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볏짚 환원을 통해 토양환경 개선과 지력향상을 꾀하는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한해 평균 볏짚 생산량이 10a당 600㎏으로 이 중 유기물은 174㎏, 요소 9.3㎏, 용과린 28.5㎏, 규산 252㎏ 등이 함유돼 있어 미량성분 공급, 유용미생물 증식에 영향을 주어 토양 물리화학성을 개선하는 등 근본적인 지력증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 김종태 박사는 “최고의 고품질 쌀 생산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토양을 되살리는 지속가능한 농토배양 기술이 실천돼야 한다”며 “부득이 볏짚 등을 수거해 간 논에는 헤어리베치, 호밀, 보리 등과 같은 겨울철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부족한 유기물을 보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영상보기-클릭!>

 

충청남도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청남도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echungnam
  • 트위터 : asd
  • 미투 : asd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