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태안 백사장항 일몰에서 황도 일출까지

2012.10.31(수) 16:30:23 | 쟈스민 (이메일주소:mee0102@naver.com
               	mee0102@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


태안의 다양한 축제와 태안의 먹거리와 함께 했던 이번 태안여행에서는 백사장항 일몰과 황도 일출까지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사실, 늘 뜨고 지는 해이지만 항상 일몰과 일출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삼대가 덕을 쌓아야만 원하는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다는 많은 사진가들의 말들이 우스개 말처럼 큰 맘을 먹고 일출이나 일몰명소에 왔다고 하더라도 허탕을 치는 것도 다반사인데 이번 태안여행에서는 백사장항 일몰과 서해에서 보기드문 황도 일출까지 볼 수 있었으니 난 참 복이 많은 사람인가보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2


얼마전 태안 안면도 백사장 대하축제가 백사장항에서 열렸다. 백사장항은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에 위치한 안면교를 지나 만나는 첫 번째 항구로, 주변의 횟집과 어시장이 바다를 에워싼 형상이라 한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3


백사장항은 봄부터 여름까지는 꽃게를, 가을부터는 대하를 주로 잡는데 특히 대하는 홍성의 남당리와 함께 전국 어획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백사장항의 대표적인 어종이라 한다.

이번 대하축제에는 지난해보다 대하 생산량이 많고 불꽃놀이와 식시회 등 먹거리, 볼거리가 더욱 풍성해져 대하축제가 진행된 3주간  38만명의 인파가 몰려들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고 한다. 나 또한 축제의 마지막을 즈음하여 일몰이 다가오는 시간에 맞춰 백사장항을 찾았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4


대하가 가장 맛있는 시기는  9월부터 10월까지로 바로 지금이 제철이라 한다. 살아있는 대하는 대부분 양식 대하이고 수염이 짧으며 자연산 대하는 양식 대하보다 수염이 더 길고 성질이 급해 잡히자 마자 죽는다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가 식당에서 팔딱팔딱 뛰던 대하는 모두 양식 대하인 것이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5


어시장 한 켠에는 가을꽃게 수확이 한창이기도 했는데 5월~6월은 암게의 계절이라면 10월~11월 가을은 살이 통통하게 오른 숫게의 계절이라 꽃게 또한 제철이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6


대하는 잠시 뒷전으로 하고 일몰 무렵이 다 되어 백사장 해변으로 건너왔다. 붉게 타 들어가는 백사장항의 노을과 날아다니는 갈매기들이 한 폭의 그림이 되어주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7


조개를 줍는 사람이나 산책을 하는 사람들. 일몰 무렵의 길게 늘어진 그림자나 검은 실루엣은 그 자체만으로도 모두 하나의 작품이고 훌륭한 배경이 되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8


사실, 이번 백사장항 일몰은 일행과의 약속때문에 완벽한 해넘이를 볼 수 없었던 기막힌 사연이 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9


해가 지려면 아직 멀었다는 생각에 일몰을 두고 오기가 무척 아쉬웠지만 일행과의 약속을 우선해야된다는 생각에 먼저 나섰던 것이었는데 나머지 일행들은 모두 일몰을 감상하고 돌아왔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0


완벽한 해넘이를 볼 수는 없었으나 백사장항의 일몰 풍경은  충분히 아름다웠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1


다음날 아침 백사장항의 일몰은 숙소에서 황도 일출을 보는 것으로 대신하고 싶었다. 황도주변으로 대단위 펜션이 많이 조성되어 있고 대부분 숙소에서 황도 일출을 볼 수가 있었다. 숙소에서 한 눈에 펼쳐지는 황도의 바다와 일출이라는 매력적인 점 덕분에 황도 주변의 펜션들은 최소 2주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어려울 정도로 인기가 많다고 한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2


황도는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 안면도의 북동쪽끝 천수만에 위치해 서해인 안면도에서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사진작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또 각종 드라마와 영화촬영지이기도 하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3

 

황도는 옛부터 보리를 많이 재배해 보리가 익으면 온 섬이 누렇게 보인다 해서 황도라 불려졌다고 한다. 개펄 조성이 잘 되어 있어 바지락 양식이 유명한데 3월부터 11월초까지 잡힌다고 한다.
 
지난해 12월말 개통한 황도와 육지를 잇는 '황도교' 가 여행자들의 또 하나의 볼거리이며 매년 음력 정월 초이튿날에 열리는 '황도붕기풍어제'는 바다를 근거지로 생계를 이어왔던 황도의 특징과 내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충남도 무형문화재 12호로 보존되고 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4

 

구름이 참 멋진 날이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5


이번 황도 일출은 짙은 구름이 깔려있어 해수면에서부터 떠오른 일출은 볼 수 없었다.
 
 

태안백사장항일몰에서황도일출까지 16


해가 완전히 떠오르고 잠시 빛내림이 있었다. 많은 사진작가들이 담고 싶어하는 해수면 위에서부터 오메가를 그리며 떠오르거나 내려가는 완벽한 모습은 아니었지만 일출이나 일몰은 그 기다림에서부터 충분히 설레고 흥분되며 아름다운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다.
 

 

쟈스민님의 다른 기사 보기

[쟈스민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facebook.com/mee0102
  • 트위터 : http://twitter.com/mee0102
  • 미투 : http://me2day.net/mee0102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