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김좌진 장군의 기개가 느껴지는 홍성 생가지

2012.06.29(금) 01:12:34 | 쟈스민 (이메일주소:mee0102@naver.com
               	mee0102@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


홍성에는 대한제국 말기의 독립운동가였던 백야(白冶) 김좌진 장군이 태어나고

성장한 김좌진 장군 생가지가 있다.

1991년부터 이곳의 성역화사업이 추진되어 본채와 문간채,

사랑채를 복원하고 관리사 및 전시관이 건립되었다.

생가지 뒤편 높은 곳에는 장군의 영정이 모셔진 사당 백야사가 있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2

 

과거 생가지 뒤편에는 일본이 우리나라의 정기의 맥을 끊기 위해

담장 뒤로 가운데를 뚝 잘라 도로를 냈었다가

그것을 홍성군에서 메꾸고 백야공원으로 꾸며 볼거리와 쉴자리를 만들었다.

'백야'라는 호는 '우리 백의민족은 심신을 단련해서 단단해져야 일본을 꺽을수 있다'는 뜻을 품고있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3


김좌진 장군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듣기 위해 문화해설사님과 함께 하였는데

끊임없이 쏟아지는 해설사님의 설명은

 김좌진 장군만큼이나 호탕하고도 기개가 넘치셨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4

 

김좌진 장군의 집안은 대대로 나라가 위급할때 조국을 지키기 위해

떨쳐 일어났던 조선의 명문가이며 혁명가 집안이었다.
김좌진 장군은 1889년(고종 26년) 김형규의 둘째아들로 태어났고

3살때 부친상을 당해 양 할머니와 어머니 슬하에서

 어려서부터 용맹하고 총명하게 성장하였다고 한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5

 

어릴 적에는 동네아이들을 모아놓고 말타기며 병정놀이를 하면서

꼬마대장 노릇을 도맡아 했는데 항상 대장깃발을 들고 다녔다고 한다. 

그 깃발에는 '강한자는 누르고 약한자는 돕는다.' 는 뜻의

'억당부략'이라 씌어 있었다고 한다.

아침에 나갈때면 할머니께서 새옷을 입혀 보냈지만

 집에 돌아올때는 가난한 친구에게 옷을 모두 벗어주고는 늘  알몸으로 돌아올 정도로 어릴때부터 나보다는 우리를, 조국을 먼저 생각했다고 한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6

 

6살때 할머니에게 99칸 대궐집, 3천석의 전답,

집안 노비 30여명의 엄청난 재산을 상속받게 된다.

15살에 30여명의 노비를 모아놓고 그들 앞에서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3천석의 전답은 소작인 노비들에게 무상으로 골고루 나눠주었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7


1907년 18살에 99칸의 집에다 호명학교를 세우고 교장으로 취임해 신학문을 교육하였고 1916년 광복단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투쟁을 하기도 했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8

 

그러다 만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를 조직하고 총사령관이 되었고

1920년 10월 청산리대첩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는 등 민족의 자주독립운동에 앞장섰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9

 

1925년 김혁과 함께 신민부를 조직하여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으며

1929년 한족총연합회를 조직하고 주석에 올랐다.
1930년 1월 공산당원 박상실의 흉탄에 맞아 순절하였고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을 받았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0

 ▲ 김좌잔 장군 기념전시관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1

 

문화해설사님의 생생한 해설을 들은 후 기념전시관을 둘러보니

김좌진 장군의 생애가 한 눈에 그려졌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2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3

▲ 김좌진 장군이 평소 좋아하던 국수를 담았던 실제 국수 사발

 

대식가인 김좌진 장군에 대한 유명한 일화는

'김좌진 장군은 한 자리에서 말술과 함께 갈비 한짝,

염통 한 개를 먹더라. 특히 국수를 좋아해 한 번에 5사발을 먹곤했다.' 고

동아일보에도 전해진다.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4
▲ 노비문서를 태워 30여명의 노비를 해방시키고 전답을 소작인들에게 나눠 주고 잔치를 벌였던 일화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5

▲ 대한독립선언서

 

김좌진장군의기개가느껴지는홍성생가지 16

▲  우리나라 무장독립운동 사상 가장 빛나는 전과를 올린 청산리대첩
 

 

김좌진 장군 생가지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330-1

 

 

 

쟈스민님의 다른 기사 보기

[쟈스민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facebook.com/mee0102
  • 트위터 : http://twitter.com/mee0102
  • 미투 : http://me2day.net/mee0102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