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아산 외암마을 한지나무등 만들기 체험행사

아산시 농업기술센터 주최

2020.08.19(수) 20:08:47아산지기(isknet@hanmail.net)

2020년 8월 18일
아산시농업기술센터의 ‘덕분에 챌린지 이벤트’

해설/ 한영미 외암민속마을 체험강사

오른쪽에 있는 연꽃 있죠?
연꽃 중에서도 우리가 연잎밥으로 먹는 연잎 있죠?
그 연잎은 흰색꽃으로 피는 연꽃, 분홍꽃 말고

흰꽃으로 피는 연꽃 그 연잎으로 연잎밥을 만든다고 합니다.
연잎차도 흰색꽃으로 피는 연잎으로 차를 만든다고 합니다.

한지등은 다 만들고 나면 이렇게 돼요.
등을 켜볼게요. 외암마을에서 가장 인기있는 체험 중 하나예요.
가격대비 가성비도 좋다고 그래요.

요걸 만들 건데 재료비닐 안에 키트 다 꺼내 보세요.
스펀지 떼시고 등이 들어오는지 불을 켜보세요.
자. 이건 LED등이에요. LED등인데.

요기 위에 보면 뾰족 누르는 데가 있어요.
그래서 이걸 눌러 주시면 뾰족한 것으로 눌러주시면 이것이 열리거든요.
여기서 네모난 건전지가 들어 있어요.
이 건전지만 갈아 주시면 계속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해요.
등이 부서지지 않는 한!

문살이 4개가 있죠?
문살 모양을 보면 두 개 두 개 모양이 똑같아요.
두 개 두 개 모양이 똑같은데 이거는 있다가 조립할 때 필요해요.
두 개 두 개 모양이 똑같은 게 왜 필요하냐면
여기 보시면 조립할 때 모양이 같은 것끼리
서로 마주보게 조립을 해주셔야 해요.
한지 종이 네 장이 들어 있죠? 그리고 위에 뚜껑 다 확인하셨죠?

저는 우리 외암마을에 오신 분들께 선물 주는 것을 좋아해요
저는 퀴즈 내는 것을 상당히 좋아하거든요.
퀴즈 맞추는 분께 선물을 드릴게요.

문살에 바르는 한지종이의 이름을 아시는 분은 손들어 보세요.
문에 바르는 한지를 뭐라고 한다고요? 창호지, 창호지!
자, 그럼 선물을 드릴게요.
퀴즈 문제는 하나만 하면 재미없겠죠?

그림을 그리는 한지종이를 창호지라고 하고,
여기 문살에 붙여져 있지만, 그림도 그려져 있죠?
는 종이를 뭐라고 부를까요?
자, 이렇게 그림을 그리는 한지종이를 뭐라고 부를까요?

힌트 드릴게요. 한자를 잘 생각하면 될 거예요.
화선지! 화선지! 오늘 붙이신 종이는
화선지와 창호지의 역할을 잘 해야 되겠죠?

그래서 지금부터 한지종이 네 장을 여기 문살에 붙일 거니까
여러분이 한지등을 가지고 가실 거거든요.
여러분의 등이니까,
지금부터 창조는 모방의 어머니라고 하니까 휴대폰을 모방해도 돼요.
네 장을 꾸며 주세요.

보시면은 이렇게 한지를 붙여서 꾸며 주셔도 되고
이렇게 유성매직으로 그림을 그리셔도 상당히 예뻐요.
여러분들이 가져가실 거니까
여러분이 꾸미고 싶은 대로 휴대폰 그림을 모방해도 되고
여러분이 좋아하는 그림으로 지금부터 네 장을 꾸미시는데,
자, 이 정도 되게 풀을 발라주시고 보시면
문살이 예쁜 쪽, 깨끗한 쪽이 있고 약간 거친 쪽이 있죠?
그러면 거친 쪽에 풀을 발라주시면 되겠죠?
어느 문살에 붙일 건지 생각을 많이 해주세요.

짝꿍끼리 뉘어놓고 하시면 예쁘긴 한데 조립해 볼게요.
얘 하고 얘를 조립하면 되는데,
여기서 조립할 때 주의할 점을 설명드릴게요.

이렇게 조립만 해가지고 집에 가지고 가면 부서지겠죠?
그해서 중요한 게 목공본드예요.
나무와 나무끼리 만나는 부분이 어디인가 보면 여기예요.
종이로 가조립을 하면 나무와 나무가 만나는 부분이 여기예요

여기 이 부분을 목공본드를 바르시고 조립을 해주시고
반대편도 목공본드를 바르시고 조립을 해주시고
뉘어놓고 나무와 나무가 만나는 곳,
여기 여기에다 목공본드를 바릅니다.

건전지를 갈 때 주의할 점은
건전지는 인터넷으로 주문을 하든가 마트에서 구입하셔서
건전지를 갈 때 이 나무를 떼버리면 안 돼요.
이 나무를 밀면 건전지박스가 나와요.
밑에 부분에서 열면 건전지가 나와요.
그리고 건전지를 갈아주시고 다시 넣고 닫아주시면 돼요.

이것을 다 조립하였으면
거기 키트 안에 있는 고무밴드가 있을 거예요.
고무밴드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거든요.
그래서 한지등을 열십자로 묶어주세요.
그런 후 집에 가서 보면 단단하게 굳어져 있을 거예요.

촬영/ 아산지기 맹진환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댓글 작성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최종 수정일 : 2022-04-25
  •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